당뇨 환자가 아니어도
꼭 필요한 혈당 관리, 이렇게!

2025. 10

최근 건강·다이어트 분야 부동의 키워드는 단연 ‘혈당’이다.
현대인들은 가공식품과 정제 탄수화물 섭취로 인해 혈당이 급격하게 오르는
‘혈당 스파이크(Blood Sugar Spike)’를 자주 경험하곤 한다. 혈당의 급격한 변동은
당뇨의 위험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체중 증가, 노화, 만성 피로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건강을 위해 반드시 해야 하는 혈당 관리, 어떻게 해야 할까?

글. 편집실
참고. 서적 <저당지수 식사 가이드>, 서울경제

당뇨 예방의 핵심은 결국 ‘먹고 움직이는 것’

점심 식사 후 밀려오는 졸음을 견디지 못해 책상에 엎드려 잠시 눈을 붙이는 직장인이 많다. 흔히 ‘식곤증’이라 부르는 이 증상은 단순한 피로가 아니라 몸속에서 벌어지는 혈당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혈당 스파이크 즉 식사 후 혈당이 빠르게 올라가는 현상은 인슐린 과다 분비를 유도하고, 췌장의 피로를 초래한다. 혈당 변동 폭이 큰 과정에서는 혈관 내피세포 세포손상이 일어나며, 동맥경화의 원인도 될 수 있다. 또한, 반복적인 혈당 스파이크는 체지방 축적을 가속화하여 비만을 유발한다. 혈당을 관리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식후 활동’이다. 식후에 사무실 복도를 10분만 걸어도 혈당 조절에 효과적이다. 식단 관리 역시 중요하다. 탄수화물 위주의 식사보다는 채소와 단백질을 곁들이는 편이 혈당을 완만하게 올려준다. 식이섬유가 많은 음식은 혈당 급등을 막는다. 결국 핵심은 단순하다. ‘먹었으면 움직여야 한다’는 것이다.

Tip.

    당지수 낮추는 식재료

  • 흰쌀밥 ▶ 현미밥, 잡곡밥, 콩밥, 보리밥

    흰 빵 ▶ 통밀빵, 호밀빵, 샤워도우빵

    밀가루면 ▶ 메밀국수, 통밀 파스타, 두부면, 콩면

    과자·케이크 ▶ 견과류, 요거트, 통곡물 시리얼

    과일주스 ▶ 생과일, 생채소, 물, 차

    과일 ▶ 사과, 토마토, 베리류


혈당을 관리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은 ‘식후 활동’이다. 식후에 사무실 복도를 10분만 걸어도 혈당 조절에 효과적이다. 식단 관리 역시 중요하다. 탄수화물 위주의 식사보다는 채소와 단백질을 곁들이는 편이 혈당을 완만하게 올려준다.

혈당 스파이크 막는 밥상, ‘저당지수 식단’

저당지수 식사는 혈당 지수가 낮은 식품을 중심으로 식단을 구성하여 혈당 변동을 최소화하는 식이 방법을 말한다. 모든 식품에는 당지수(Glycemic Index, GI) 점수가 계산되어 있는데, 이는 특정 식품 속 탄수화물이 소화·흡수되어 혈당을 얼마나 빨리 올리는지를 나타내는 수치다. 통상 당지수 55점 이하면 저당지수 식품, 당 지수가 70점 넘으면 고당지수 식품으로 분류된다. 저당지수 식사는 혈당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해주고,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 지방을 낮춘다. 주로 섬유질이 풍부한 식단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장내 세균의 긍정적인 변화를 통해 변비, 설사 등 위장관 증상도 개선된다. 또한, 혈당의 급격한 변화가 적기 때문에 스트레스 호르몬 수치 안정화를 돕고, 이는 정서적인 안정으로 연결된다.

Tip.

    찾아가는 경기도 돌봄의료센터

  • 경기도 찾아가는 돌봄의료센터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힘든 분들에게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가 한 팀이 된 의료팀이 직접 가정을 방문해 진료를 제공하는 돌봄의료서비스 사업이다.

    사업실시기관 · 경기도의료원 6개 병원
    (수원, 의정부, 파주, 이천, 안성, 포천)
    · 지역병원 2개 병원(화성, 시흥)

    서비스대상 거동이 불편하여 의료기관을 방문할 수 없는 누구나
    ※ 서비스 신청 시 의료기관에서 기본정보 초기상담 후 대상여부 판단

    서비스내용 대상자의 자택을 방문하여 돌봄의료 통합서비스 제공
    · 의사, 간호사의 자택 방문진료 및 간호서비스
    (각종 검사, 교육, 상담 등)
    · 주거·경제환경 등 복지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사회 복지사가 필요한 기관 연계·의뢰
    ※ 제공서비스는 대상자의 의료·사회적 환경에 따라 기관별로 달라질 수 있으며 추가적인 세부사항은 사업실시기관에 문의

    신청방법 환자 및 보호자 직접신청, 지역행정기관·의료기관 등에서 대상자 의뢰

    문의 ·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031-888-0682), 의정부병원(031-828-5050), 파주병원(031-849-2031), 이천병원 (031-630-4301~2), 안성병원(031-8046-5210),
    포천병원(031-539-9381~4)
    · 지역병원 : 화성동탄시티병원
    (031-613-5119), 시흥신천연합병원
    (031-310-6614~5)

+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