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피로한 눈, 매일 보는 ‘이것’ 때문…!
SNS 사용 주의보

2025. 11

눈 건강은 오복 중에 하나로 여겨질 정도로 중요하다.
하지만 SNS나 각종 미디어의 영향으로 인해 안구질환 환자가 더욱 늘고 있는 지금,
스마트폰으로 활동 중 소셜 미디어(SNS)를 하루 한 시간 이상 스크롤하는 것이
눈 피로를 가장 가중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그렇다면 이러한 환경 속에서
눈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글. 편집실
참고. 헬스조선, 분당제생병원 블로그

눈 건강을 해치는 스마트폰 그리고 SNS

인도 SRM 과학기술연구소·싱가포르 공과디자인대 공동 연구팀이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노출이 시각적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참여자들은 한 시간 동안 스마트폰 전자책 읽기, 영상 시청, 소셜 미디어를 사용했고, 연구팀은 자가개발한 시각 활동 측정 시스템을 활용해 참여자들의 눈 깜박임 속도와 간격, 동공 직경 등을 측정해 디지털 눈 피로를 실시간 확인했다. 분석 결과, SNS를 스크롤하는 것이 전자책을 읽거나 영상을 시청하는 것보다 눈 피로도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SNS를 스크롤하는 한 시간 동안 참여자들의 눈 깜박임 속도는 54~61% 감소했고, 이에 따라 깜박임 간격 역시 39~42%가량 늘어났다. 이는 눈을 제때 깜박이지 않고 더 오래 뜨고 있게 돼 눈 피로를 가중시켰음을 의미한다.

Tip.

    VDT증후군의 예방 및 치료법

  • ‘20-20-20 Rule’을 지킬 것. 스마트폰이나 컴퓨터를 사용할 경우 20분마다 20초 동안 눈을 감고 쉬거나 20피트(6미터) 떨어진 곳을 바라보며 눈을 휴식시켜 주는 것이 좋다.

    적절한 조명을 사용하고, 화면과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동식 기기들의 모니터 글자 크기를 키우고 멀찍이 보며, 모니터의 높이가 눈높이보다 약간 아래에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안구건조증의 경우, 가습기 등으로 실내 습도를 조절하고 적절한 수분을 섭취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따뜻한 수건을 눈 위에 올리는 온찜질과 인공눈물 약 등의 안약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력 저하, 통증, 눈의 피로 등의 안과 증상이 있으면 안과에 내원하여 적절한 시력검사 및 안과 검사를 하도록 한다.


디지털 화면이 가져오는 눈의 피로와 불편함

VDT증후군은 ‘Video Display Terminal Syndrome(비디오 디스플레이 터미널 증후군)’의 줄임말로, 컴퓨터, 스마트폰을 장시간 동안 사용했을 때 나타나는 모든 질환을 말한다. 가장 흔한 증상은 눈의 피로, 건조함, 가려움, 어지러움, 두통, 시력 감소 등이 있다.

· 디지털 아이 스트레인(Digital Eye Strain) : VDT증후군의 일종으로 장시간 화면을 응시하면 눈이 건조해지고 피로감을 느끼게 되는데, 이는 눈꺼풀과 안구 근육의 지속적인 사용으로 인해 발생한다.

· 근시(Myopia) 증가 : 스마트폰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근시 발생률도 상승하고 있다.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은 장시간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눈 건강이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 건성안 증후군(Dry Eye Syndrome) : 스마트폰 사용 시 눈을 확실히 깜빡이지 않고 계속해서 응시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에 따라 안구건조증을 유발할 수 있다.


성인 30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노출이 시각적
피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SNS를
스크롤하는 것이 전자책을 읽거나 영상을 시청하는
것보다 눈 피로도에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Tip.

    인플루엔자 및 코로나19 국가예방접종 안내

  • 9월 22일부터 내년 4월 30일까지 인플루엔자 및 코로나19 국가예방접종이 실시된다. 예방접종은 주소지와 관계없이 전국 위탁의료기관 및 보건소(방문 전 확인 필수)에서 가능하며, 가까운 위탁의료기관은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nip.kdca.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접종 시에는 백신접종 대상 여부 확인 등을 위해 신분증을 지참해야 한다.


구분 접종 대상 접종 기간
인플루엔자 생후 6개월~ 13세 어린이
(’12. 1. 1.~ ’25. 8. 31. 출생아)
2회 접종 대상 ’25. 9. 22.~
’26. 4. 30.
1회 접종 대상 ’25. 9. 29.~
’26. 4. 30.
임신부(산모수첩 등 소지) ’25. 9. 29.~
’26. 4. 30.
인플루엔자,
코로나19
(동시접종 가능)
65세 이상 어르신
(’60. 12. 31. 이전 출생자)
75세 이상
(’50. 12. 31. 이전 출생)
’25. 10. 15.~
’26. 4. 30.
70~74세
(’51. 1. 1.~’55. 12. 31. 출생)
’25. 10. 20.~
’26. 4. 30.
65~69세
(’56. 1. 1.~’60. 12. 31. 출생)
’25. 10. 22.~
’26. 4. 30.
코로나19 의사 소견 등에 따라 접종 ’25.10.15.~
’26. 4.30.
감염취약시설* 입원·입소자
* 요양병원, 요양시설, 노숙인 생활시설,
장애인 생활시설, 정신의료기관,
정신요양시설 및 정신재활시설
+ 다른 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