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 |
귀래리 |
정남주민자치회 |
아름다운 정남 우리가 만들자 |
자원순환거점(귀래정) 내 순환 체계 구축, 분리배출시설 및 주변환경개선, 자원순환교육 및 업사이클교육, 커피박 퇴비로 선순환 정원 운영 |
파주시 |
금촌2동 |
줄일레오안쓸레오파주실천단 |
사람들의 줄이고 안 쓰는 자원순환 운동 |
교육과 캠페인을 통한 자원순환 주민네트워크 구축 및 활성화, 주민실천캠페인(소형 플라스틱 뚜껑 모으기 캠페인) |
고양시 |
미소마을 |
우성사랑방 |
재활용과 환경개선 |
아이스팩 재사용 시스템 구축(아이스팩 재활용과 처리대책 시민토론회, 아이스팩 수거함 설치), 아파트 단지 내 자원순환시스템 구축 및 공유문화 조성(생활용구 공유함), 나눔장터와 올바른 투명페트병
분리배출 캠페인 실시
|
안산시 |
이동 |
이동매화향기주민협의회 |
리싸이클링 이동 |
이동 재활용정거장 설치 및 운영과 클린‧안심 동네 조성, 다가구주택‧외국인밀집지역의 분리수거 시스템 시범운영, 주민참여 친환경 화단설치와 전봇대 리폼 사업을 통한 마을환경개선 |
화성시 |
평리마을 |
만세작은도서관 |
마을 되살림 |
자원순환 네트워크 형성 및 소형자원 분리배출 시스템 구축, 주민환경봉사단 창단 및 자원순환활동가 양성, 폐전지 분리수거함 설치, 우유팩 수거 활동 전개 |
연천군 |
백의1리 |
개미산청년회 |
개미들의 꿈을 찾는 마을 |
자원순환거점 운영 및 선순환 시스템 구축(영농폐기물‧생활쓰레기 거점시설 운영, 수익금 환원하여 자원순환기금으로 활용), 업사이클 거점 신규 조성 및 교육 진행 |
부천시 |
대산동 송내2 |
대산동 송내2 마을자치회 |
자원순환을 통한 생태 가치 더하기 |
송내2 자원순환 문화 콘텐츠 기획 및 활성화(주민 대상 프로그램 기획 및 진행), 온라인 플랫폼 활용 나눔장터 |
성남시 |
신흥2동 |
성남환경운동연합 |
신흥2동에서 시작하는 순환경제 |
구도심 다세대 주택가 신흥2동 재활용정거장 (신흥이re100) 운영(분리배출일 지정 운영 및 주민 유가보상, 무색페트병 분리배출시범사업 진행) |
여주시 |
외평2리 |
밧들온새미로살터지기들 |
RE∽UP 아름다운 밧들 만들기 |
자원순환거점 ‘클린하우스’, ‘자원순환형 나눔가게’ 운영 및 자원순환 주민문화 정착, 성과공유회 및 나눔장터, 주민이 조성하는 업사이클 마을정원
‘추억의 동산’, 주민 자원순환‧업사이클 교육 및 마을활동가 양성
|
고양시 |
정발산동 |
정발산동 주민자치위원회 |
춤추는 빗자루~쓰담이를 부탁해! |
주민과 함께 깨끗한 정발산동 만들기, 쓰담쓰담페스티벌(플로깅, 장터 등)진행, 클린하우스 운영 |
안산시 |
광덕지구 |
광덕청년 인싸모임 |
배달없는 민족 |
일회용 배달용기 집중 감량 프로젝트, 주민주도 학습, 견학, 회의 등을 통한 단계적 대안 발굴 및 실천(주민 인식조사 및 올바른 분리배출 리플렛 배부) |
양평군 |
병산2리 |
클린365 병산2리 |
자원순환 클린365 |
마을쓰레기 수거 - 업사이클 - 전시 - 판매 체계 운영, 업사이클교육을 통한 마을강사 배출 및 순환경제 실현, 자원순환테마공원 내 정크아트 전시 |
안산시 |
안산동 |
지속가능발전교육센터 |
지속가능한 자원순환마을 만들기 |
마을 공동체 활성화 - 사회변화 프로젝트 운영, - 마을탐방 및 분석을 통한 마을 맞춤 자원순환 프로그램 기획, 청소년 대상 업사이클, 친환경메이킹 교육 진행, 자원순환장터 개최 및 자원순환
활동 주민 확산
|
고양시 |
일산2동 |
일산2동 주민자치위원회 |
쓰레기, 도돌이표 : |
자원순환 아이디어 배출 및 업사이클 교육, 주민 참여 자원순환 프로그램(업사이클교육, 친환경메이킹 활동, 마을축제)을 통해 자원순환 활동 확산 |
양주시 |
해동마을 |
작은도서관 마실 |
쓰레기 제로 해동마을 |
청소년 자원순환 인식개선활동 전개, 청소년 환경동아리 개설 및 활동 추진(리빙랩 워크숍, 폐기물 처리장 견학, 모니터링 등 교육 커리큘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