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g마크우수축산 아이콘

G마크 우수축산물 학교급식

학생들에게 양질의 축산물을 공급함으로써 학교급식 질을 향상하고 도내 축산농가에게는 안정적인 소비처를 제공합니다.

25년 G마크 우수축산물 학교급식 사업개요

  • 사업대상: 3,146개교 1,203천명(도내 병설유치원·초·중·고·특수학교 중 희망학교)
  • 사업비: 22,600백만원(도비 50%, 시군비 50%)
  • 사업내용: G마크 우수축산물의 학교공급가 지원
    ※ G마크 우수축산물(1등급 이상)과 일반축산물과의 차액 지원
  • 지원품목: G마크 축산물(수급불안정 시 인증 농가에서 사육한 축산물 공급 가능)

추진방법

1단계 – G마크 인증을 통한 공급업체 선정(경기도농수산진흥원)

생산자단체(신청) ↔ 시군(4회/년 접수) ↔ 경기도(공무원,소비자단체 등 합동)

<G마크 인증업체 현황>
총 30개소(한우11, 돼지12, 닭3, 계란3, 가공품1)

2단계 – G마크 축산물 학교급식 공급
  • 지방계약법에 따라 학교와 G마크 축산물 공급업체는 입찰 또는 수의계약 체결
  • 공급계약(학교/경영체) → 공급(경영체/학교 확인) → 시군(경영체 보조금 지급신청)
3단계 – 학교급식 관리체계

민관 가격결정 협의회 개최(2회/년) → 축산물 안전성 검사(안전관리팀의 연 4회 점검·수거)

사업 추진체계
G마크 우수축산물 사업 추진체계
  • 교육청(학교로 학교급식 실시요령 시달)
  • 학교(G마크 인증업체 와 EAT 계약 , G마크 인증업체에서 축산물 공급 받음)
  • G마크 인증업체(시.군에 보조금청구, 시,군에 보조금 지급)
  • 시.군
  • 경기도(G마크 인증업체에 G마크 인증,학교급식T/F팀 운영) (시.군에 학교급식 실시요령 시달,예산배부

‘24년 추진실적

  • 반기별 G마크 우수축산물 학교급식 가격결정협의회 운영 및 실시요령 시달
  • 학교급식 특별관리 안전관리팀 협의회 개최 및 운영: 166회 점검, 358건 수거(모두 적합)
  • 학교급식 한우 유전자 검사 추진: 389건(모두 한우로 판정됨)
  • 축산물 예측가격을 2개월마다 교육청에 통보(6회)

’25년 사업추진 방향

  • 2025년 상·하반기 가격결정 협의회 개최 및 실시요령 알림(25년 1,7월)
  • 학교급식 안전관리팀 구성(16개팀 49명) 및 운영(3~12월)
  • 한우급식 한우 유전자 검사 계획 통보 및 관리(400건/년 계획)
  • 축산물 예측가격 교육청 통보(1회/2개월)
  • 기후위기대응을 위한 기후급식의 일환으로 저탄소축산물인증제 도입 시범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