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정기준

  • 소득기준 :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단위:원)

    경기도형 긴급복지사업 소득기준표

    경기도형 긴급복지사업 소득기준표로써 구분, 1인가구,2인가구,3인가구,4인가구,5인가구,6인가구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구분 1인 가구 2인 가구 3인 가구 4인 가구 5인 가구 6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 2,077,892 3,456,155 4,434,816 5,400,964 6,330,688 7,227,981
  • 재산*기준 : 특례시 372백만원, 시 310백만원, 군 194백만원 이하
    • 주거용재산 공제) (특례시) 69백만원 (시) 69백만원 (군) 42백만원
      * (재산의 의미) 일반재산 + 금융재산 + 보험 + 청약저축 + 주택청약 + 종합저축 – 부채
  • 금융재산* : 1,200만원+생활준비금(중위소득 100%)[1,740만원(4인기준)] 이하
    * (금융재산의 의미) 현금 또는 수표, 어음, 주식, 국공채 등 유가증권 및 예금, 적금, 부금 및 수익증권 등을 의미하며 보험, 청약저축 등은 일반재산임
  • 위기상황[밑줄 부분 ‘경기도형 긴급복지’만 있는 위기사유]
    • 주소득자가 사망, 가출, 행불, 군입대, 구금 등으로 생계가 곤란하게 된 때
    • 중한 질병 또는 부상을 당한 때
    • 가구구성원으로부터 방임·유기·학대·가정폭력·성폭력 등을 당한 때
    • 화재, 자연재해, 경매·공매, 월세체납으로 인한 강제 퇴거 등으로 거주하는 주택 또는 건물에서 생활하기 곤란하게 된 때
    • 실직, 사업실패(휴·폐업)로 소득을 상실하여 생계가 곤란하게 된 때
    • 시설 퇴소아동
    •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 정한 사유가 발생한 때
    • 그 밖에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경우
      • 주소득자와 이혼한 때
      • 단전된 경우(전류 제한기를 부설한 경우 포함)
      • 교정시설에서 출소한 자가 생계가 곤란한 경우
      • 가족으로부터 방임·유기 또는 생계곤란 등으로 노숙을 하는 경우
      • 복지사각지대 발굴 대상자, 통합사례관리 대상자 또는 자살 고위험군으로서 관련 부서(기관)로부터 생계가 어렵다고 추천을 받은 경우
      • 코로나19로 인하여 주소득자 또는 부소득자가 무급휴직 등으로 소득을 상실한 경우
      • 코로나19로 인하여 자영업자, 특수형태 근로종사자 또는 프리랜서인 주소득자 또는 부소득자의 소득이 급격히 감소한 경우
    • 입원환자나 치매노인, 알코올중독자, 정신질환자 등을 간병, 보호하기위해 소득활동이 미미하여 생계가 어려운 경우
    • 과다채무 또는 빚 독촉으로 생계가 어려운 경우
    • 신용회복위원회 사전채무조정제도를 통해 채무변제유예처분을 받은 사람 중 생계가 어려운 경우
    • 범죄피해로 인해 생계가 어려운 경우

지원내용

경기도형 긴급복지사업 지원내용표

경기도형 긴급복지사업 지원내용표로써 종류, 지원내용, 지원금액 , 최대횟수 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종 류 지원내용 지원금액 최대횟수
주 지 원 생계지원 • 식료품비, 의복비 등 1개월 생계유지비 • 1,620천원(4인기준) 6회
의료지원 • 검사 및 치료 등 비급여 의료 서비스
• 간병비
• 항암치료비
• 300만원 이내
• 300만원 이내
• 100만원 이내
2회
1회
3회
주거지원 • 임시거소 제공 또는 이에 해당하는 비용
• 주거지 마련을 위한 임대 보증금 일부 비용
• 662천원(월/대도시, 3∼4인기준)
• 보증금 500만원
12회
1회
사례관리 • 현장확인 결과 필요한 맞춤형 물품 및 서비스제공 • 1회 400만원 이내 1회
부 가 지 원 교육지원 • 초·중·고등학생중 수업료 등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사람에게 학비 지원
▸ 주거지원(최대 12월) 대상자의 교육지원 횟수를 최대 4회 범위에서 지원
• 초 : 127천원
• 중 : 180천원
• 고 : 214천원 및 수업료·입학금
2회
▸(4회)
시장·군수
추가지원
결정항목
• 주급여(생계·의료·주거지원) 받는 가구 중 추가 항목 지원이 필요한 가구
• 연료비(10월~3월) : 월 11만원/가구
• 구직활동비(최대 6개월) : 월 10만원
• 해산·장제비 : 1회 100만원
• 전기요금 : 50만원 이내, 체납분
• 시장·군수가 결정한 항목
-
민간기관·단체 연계지원 등 •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대한적십자사 등 민간지원 프로그램으로 연계
• 상담 등 기타 지원
-

※ 신청방법 : 관할 시·군청(읍·면·동) 상담·안내 및 신청·접수 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