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권익과에서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추진하는 선제적 대응 사업임.

추진배경

  • 道 내 산업재해 사고사망자가 매년 200여 명 이상 발생
    - 특히, 50인 미만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집중발생

< 경기도 내 산재 사고사망자 현황 >

경기도 내 산재 사고사망자 현황표

경기도 내 산재 사고사망자 현황표로써 구분,2021,2020,2019,2018,2017년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구분 2021 2020 2019 2018 2017
산재 사고사망자 수 221 235 216 236 244
50인 미만 업체
산재 사고사망자 수
174
(78.7%)
183
(77.9%)
162
(75.0%)
182
(77.1%)
182
(74.6%)

* ( )안 비율은 전체 사망자수 중 50인 미만 업체에서 발생한 비율

추진 방향

  • 산업재해 발생 취약분야에 대해 ❶인식개선, ❷현장점검지도, ❸건전한 노동문화 정착을 통한 안전한 노동환경 조성으로 노동복지 증진 도모
    • (현장중심) 사업장 내 위험요소 발굴·제거로 안전한 환경 조성
    • (대상집중) 산업재해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5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 집중
    • (선제대응) 사후적 수습이 아닌 선제적 산업재해 발생 예방 대응

5년간 산업재해 사망사고 절반 감축 / 선제적 산업재해 위험요소 제거로 노동환경 개선 /산업안전
인식개선 1. 찾아가는 산업재해 예방 교육 2. 노동안전보건 우수기업 인증 / 산업현장 점검지도 3. (경기도 권역) 노동안전 지킴이 운영 4. (공무직) 현업종사 공무직 안전보건 교육관리 / 건전한 노동문화 정착 5. 감정노동자 등 심리치유 지원

중대재해처벌법 및 산업재해 예방 홍보 동영상

중대재해처벌법 및 산업재해 예방 홍보영상 자막

중대재해처벌법 및 산업재해 예방 홍보영상 자막
(아나운서)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됐습니다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했을 때
만약 안전보건 확보의무를 위반했다면
사업주와 경영책임자를 처벌한다는 내용인데요
여기서 잠깐
이 법의 목적은 처벌보다 예방에 있습니다
경영책임자는 안전 감독을 철저히
노동자는 보호장비 착용을 꼼꼼히
산업재해는 예방이 최우선이죠
2020년 추락과 끼임
산업재해 사망자는 48퍼센트
하루 평균 한 명의 노동자가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지 못했습니다
사고는 예고없이 옵니다
하지만 예상하고 방지할 수 있습니다
만약 산업재해 발생 위험이 예상되면
사업주는 작업 중지의 의무가
노동자는 작업을 중지하고
긴급대피할 권리가 있습니다
노동자에 대한 불이익 처우는 금지
특히 2020년 50인 미만 사업장의
산업재해 사망자는 무려 81퍼센트
경기도는 50인 미만 사업장을 대상으로
노동안전지킴이, 산업재해 예방 전문가가
현장을 직접 찾아갑니다
일하는 사람이 안전한 일터
경기도가 더 안전해집니다

중대재해처벌법 및 산업재해 예방 홍보영상 다운로드 다운로드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