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우려지역 지정 및 관리 내실화
지정
- 결빙취약구간, 적설취약구조물 등 5개 분류에 따라 재해우려지역 발굴
- (풍수해시스템)·확대(1,157 → 1,203, 36개소↑)
- 재해우려 구간 연장·거주자·담당자(시군·읍면동·민간보조자) 등 입력
관리
- 적설관측 및 기상특보 기준 도달 시 방재인력 재난문자 송출,
- 취약지역(시설) 예찰 활동 강화 및 사전 제설 실시
- 결빙취약구간 : 현 360° 스마트 영상센터 연계, 예찰·사전 제설 모니터링,
- 강설 후 후속 제설 실시, 내비게이션 응ㅁ성 안내(행정안전부) 등
- 적설취약구조물 : 시설·구조물별 특성에 맞는 점검 실시
제설자재·장비 등 사전 확보·운영으로 제설 역량 강화
자원 확보
- 염화칼슘 등 제설제 14.9만톤, 제설장비 6,344대
- (전년대비 215↑, 민간임대 제설차량 1,450대 포함) 확보 완료
인프라 확충
- 신속하고 효율적 제설 및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시설 확대
- 자동제설장치 : 자동염수분사장치(689개소 335.5km → 754개소 362.2km),
- 도로열선(31개소 5.2km → 46개소 7.8km)
- 제설 전진기지 : 141개소(전년대비 3↑) 운영 및 제설자원 사전 배치
협업체계 운영
- 수도권(서울·인천) 주요 진입도로 및 인접 시·도(강원·충청) 경계부 등
- 동시 소통을 위한 협조체계 마련으로 경계구간 제설 강화
- 시·군 관리(책임) 구간 사전 확인, 제설자재·장비 등 협조체계 구축
긴급대응팀 운영
- 응원 가능한 제설 장비·물자 사전 파악·지정(시·군·경찰· 건설업체 등)
- 특정지역 강설 시 제설역량 집중
도로·교통·철도 분야
대응
- 사전 점검 및 모니터링으로 교통혼잡 및 사고 예방
- 출·퇴근 시간 조정, 시내·마을버스 우회, 증편 및 막차 연장 운행
- 도시철도 6개 노선(55개 역사) 연장 및 열차 추가 투입 검토
- 역사 출입구 제설, 차량기지 내 도로·진입로 등 전담 제설지역 지정·운영
- 제설방식 다각화, 제설공백 방지 등 도로제설대책 개선방안 마련·추진
- 살얼음 결빙 취약구간 등 사전·후속 제설 철저
농업·축산·해양수산 분야
예방
- 시설 안전점검, 도-시·군 연락체계 구축 및 재해대응팀 운영
- 농작물 및 시설물 관리요령 전파, 취약시설 안전관리 지도·점검 실시
- 축사 안전점검 및 가축 관리요령 홍보, 축사시설 현대화 사업 추진
- 해면·내수면 양식장 및 어선 안전점검 및 사전 보강 조치 등
대응
- 피해발생 시 현장 정밀조사, 복구계획 수립 및 응급 복구 지원
- 농업재해 및 해양수산재해 대책상황실 운영으로 신속 대응
- 축사시설 지주 보강, 파손 대비 지붕에 쌓인 눈 제거 등
주택 분야
예방
- 대설 취약 시설물 안전점검 및 행복·공동주택 안전점검 실시
- 특수구조 건축물 (PEB 구조 등) 도-시군-전문가 합동점검
- 안전취약 소규모 건설현장 안전컨설팅
- 도-시군-공동주택 단지 간 협력체계 구축
대응
- 옥외광고물 위험징후 발견 시 사전 철거·보수
- 상습결빙구간 제설제 사전 살포 및 출입통제 조치 등으로 2차 피해 예방
건설·노동 분야
예방
- 현-시·군 협력체계 구축으로 건설공사장 안전 관리
- 취약현장 관리강화 등 현장중심 예방체계 구축, 노동자 중심 사전예방
대응
- 공사장 안전 위해요인 사전 차단 등 비상단계별 사전대비 및 현장점검
산림·공원 분야
예방
- 제설자재 사전 확보 및 정비, 취약지역 순찰 강화 및 위험요인 사전 제거
- 고립 또는 인명피해 예상 시 입산 금지 등 사전 예방조치
대응
- 산림복지서비스시설 230개소 및 숲길 376개산·임도 9개소 사전 통제
- 공원입산 금지 등 차단 매뉴얼에 따라 하산 및 귀가 유도
산업·환경 분야
예방
- 기상예보에 따른 기업체·상가·전통시장 등 안전 관리 및 위험요인 사전 차단 안내 및 유관기관 비상연락체계 유지
대응
- 피해 상황 신속 파악, 재난폐기물 수거·처리, 통신두절지역 긴급 복구
- 기업·소상공인 지원 사업 안내로 시설 복구 및 경영 안정화 지원
보건·복지 분야
대비
- 재난거점병원(DMAT) 9개소 27팀, 보건소 신속대응반 49개 770명 구성으로
-신속 대응 태세 유지, 자연재난 연계 사전대비체계 강화(현 방역대책반)
대응
- 보건소 신속대응반 출동 및 현장응급의료소 설치·운영, 현 방역대책반 운영 및
-재해지역 감염병 환자 감시체계 가동 등 위기가구 긴급지원 연계
구조·구급 분야
대비
- 구호·제설물품 사전 확보 및 관계기관 상호 지원체계 구축
- 재해구호물자응급 및 임시주거시설 현황 관리
대응
- 폭설로 인한 접근 불가지역 신속 출동 등 긴급구조대응태세 유지
- 의용소방대 등을 활용한 응급 복구 및 주민 생활 안정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