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거법령
- 「건강가정기본법」 제3조(정의), 제15조(건강가정기본계획)
- 경기도 1인가구의 사회친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제4조(기본계획의 수립)
추진방향
비전 및 정책목표

-
비전
- 혼자도 가치, 우리도 같이 1인가구에 힘이 되는 경기도
-
목표
- 함께 사는 삶 (어울려 사는 건강한 삶)
- 잘 사는 삶 (누구나 누리는 삶의 질)
- 마음 편한 삶 (안정적이고 안전한 삶)
-
추진 과제
-
6개 영역 37개 과제
- 추진체계
- 사회관계망
- 건강돌봄
- 생활안정
- 주거
- 안전
-
6개 영역 37개 과제
경기도 1인가구 현황
- 道 1인가구는 전체 가구의 29.2%,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
- (’21년 기준) 도 1인가구는 154만명으로 전년 대비 13만명 이상 증가 하였으며, 전체가구 대비 1인가구 비율도 전체가구의 27.6%에서 29.2%로 1.6%p 증가
※ 道 전체가구 대비 1인가구 비율 : (’19)26.3% → (’20)27.6% → (’21)29.2% - 전국 지자체 중 경기도에 가장 많은 1인가구가 거주하고 있음
※ 전국 1인가구 717만명 중 ① 경기도 154만명, ② 서울 149만명, ③ 부산 49만명 順
경기도 1인가구 비율
전국 1인가구 비율
- (’21년 기준) 도 1인가구는 154만명으로 전년 대비 13만명 이상 증가 하였으며, 전체가구 대비 1인가구 비율도 전체가구의 27.6%에서 29.2%로 1.6%p 증가
- 경기도 가구원 수별 가구(′17~′21) (단위 : 천가구, % / 통계청)
경기도 가구원 수별 가구(′17~′21)표
경기도 가구원 수별 가구(′17~′21)표로써 연도, 전체가구수, 전체가구비중, 1인가구, 1인가구비중, 2인가구수, 2인가구비중,3인가구수,3인가구비중,4인가구수,4인가구비중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연도 전체 1인 2인 3인 4인 가구수 비중 가구수 비중 가구수 비중 가구수 비중 가구수 비중 2017 4,603 100 1,125 24.4 1,147 24.9 1,057 23.0 1,275 27.7 2018 4,751 100 1,198 25.2 1,213 25.5 1,084 22.8 1,256 26.4 2019 4,908 100 1,291 26.3 1,285 26.2 1,106 22.5 1,226 25.0 2020 5,098 100 1,406 27.6 1,350 26.5 1,120 22.0 1,222 24.0 2021 5,291 100 1,543 29.2 1,423 26.9 1,134 21.4 1,191 22.5 - 경기도 성·연령별 1인가구(′21) (단위 : 천가구, % / 통계청)
경기도 성·연령별 1인가구(′21)표
경기도 성·연령별 1인가구(′21)표로써 구분, 1인가구 계, 남자,여자별 가구수의 비중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구분 계 남자 여자 계 비중 남자 비중 여자 비중 합계 1,543 100 836 100 707 100 20세 미만 7 0.5 3 0.4 4 0.5 20~29세 265 17.2 147 17.6 118 16.7 30~39세 305 19.7 206 24.7 98 13.9 40~49세 242 15.7 159 19.0 84 11.9 50~59세 256 16.6 152 18.1 105 14.8 60~69세 244 15.8 109 13.1 134 19.0 70~79세 140 9.1 42 5.0 98 13.9 80세 이상 84 5.5 18 2.1 67 9.4

0건
번호 | 제목 | 첨부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 |
---|---|---|---|---|---|
데이터 조회중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