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종합정보

육아에서 부터 다양한 복지서비스를 이용하세요

편리하고 안정적인 육아, 가족지원 등 맞춤형 복지서비스를 한눈에 확인하세요.
자세한 내용은 각 사업별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고, 문의는 아래 안내센터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2502170001

  •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
    경기도 건강증진과 031-8030-3262
    지원대상
    경기도 거주 난임가구(사실혼 포함)
    지원내용
    보건복지부 지정 난임시술 의료기관에서 시술 후 발생한 시술비 지원
    신청방법
    관할 보건소 신청
  • 난임시술 중단의료비 지원
    경기도 건강증진과 031-8030-3262
    지원대상
    경기도 거주 난임부부
    지원내용
    공난포 등 의학적 사유로 난임시술 중단 시 최대 50만원 의료비 지원
    신청방법
    관할 보건소 신청
  • 냉동난자 해동연 보조생식술 지원
    경기도 건강증진과 031-8030-3262
    지원대상
    냉동난자를 사용하여 임신·출산을 시도하는 부부
    지원내용
    냉동난자 해동, 체외수정 신선배아 시술비 부부당 최대 2회 1회당 최대 100만원 지원
    신청방법
    여성의 주소지 관할 보건소 또는 e보건소 신청
  • 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
    경기도 건강증진과 031-8030-3263
    지원대상
    경기도 거주 고위험 임신질환(19종) 진단받고 입원치료 받은 임산부
    지원내용
    19대 고위험 임신 질환의 입원치료에 있어, 가계부담이 큰 전액본인부담금 및 비급여 진료비 지원(1인당 300만원 이내)
    신청방법
    e보건소 신청 https://www.e-health.go.kr/
  • 청소년 산모 의료비 지원
    경기도 건강증진과 031-8030-3263
    지원대상
    경기도 거주 만 19세 이하 청소년산모 및 2세 미만 영유아
    지원내용
    임산부 및 2세 미만 영유아의 모든 의료비 및 약제 치료재료 구입비 지원(최대 120만원 이내)
    신청방법
    정부24 신청 https://www.gov.kr
  • 위기임산부 지역상담기관(1308)
    경기도 건강증진과 031-8008-3356
    지원대상
    기치 않은 임신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과 사회적 편견으로 출산ㆍ양육에 어려움을 겪거나 또는 보호출산을 원하는 위기임산부
    지원내용
    24시간 상담, 돌봄서비스, 민·관협의체 운영 및 지역자원 연계, 보호출산 지원 등
    신청방법
    전화(1308), 카카오채널(경기도 위기임산부 상담지원), 홈페이지(우름 * 전문 상담사(6명) 24시간 상담
  •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
    경기도 건강증진과 031-8030-3263
    지원대상
    경기도 거주 20~49세 남녀 중 가임력 검사 희망자
    지원내용
    가임력 검사(난소기능검사, 정액검사 등) 비용 지원(여자 13만원, 남자 5만원) - 주요 주기별* 1회, 최대 3회 지원, *(1주기) 29세 이하 (2주기) 30~34세 (3주기) 35세~49세
    신청방법
    e보건소 신청 https://www.e-health.go.kr
  • 출산지원금 지원
    경기도 인구정책담당관 031-8008-2847
    지원대상
    출생일 기준 부 또는 모가 해당 시군에 주민등록을 두고 거주(시군별 상이)
    지원내용
    시·군 자체 조례에 따라 현금 또는 지역화폐 지급(시·군별 금액 및 지급방법 등 상이)
    신청방법
    관할 행정복지센터 방문(출생신고 시) 또는 온라인(정부24)(시군별 상이)
  • 첫만남 이용권
    경기도 가족정책과 031-8008-3359
    지원대상
    출생신고 되어 주민등록번호 부여받은 아동
    지원내용
    출생아동 1인당 200만원 지급(둘째아 이상 300만원)
    신청방법
    관할 행정복지센터 신청
  • 산후조리비 지원
    경기도 건강증진과 031-8030-3262
    지원대상
    경기도 거주 출산가정
    지원내용
    출생아 1명당 산후조리비 50만원(지역화폐) 지원
    신청방법
    시·군 관할 주민센터 방문 또는 경기민원 신청 https://gg24.gg.go.kr
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