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도민의 건강과 안전한 먹을거리
경기도의 깨끗한 환경을 위해 앞장서겠습니다.

자료실

1996년도 환경연구원보(제9권)

게시물 정보
작성자 관리자

경기도내 지하전철역 환경오염도 조사연구
 
경기도내 지하전철역 중 범계,정부종합청사,야탑,경원대역의 가스상, 입자상 오염물질 및 미량유해물질의 시료를 채 취하여 조사한 결과 SO2, NO2, CO, CO2 의 농도는 지하생활공간 환경기준 권고치 이하로 나타났다. 포름알데히 드는 0.02~0.024ppm(환경기준권고치 : 0.1ppm/day)이었으며, 총부유먼지의 년평균농도는 환경기준권고치를 초과하 지 않았으나, 월별농도는 봄과 겨울에 권고치를 초과하였다. Pb, Cu, Cd, Cr 은 4곳 모두 환경기준 권고치에 못미 치는 낮은 농도를 나타냈다. 
 
 
 
 
  연돌가스의 방향족탄화수소류(PAHs)분포 조사 연구
 
산업장 연돌에서 배출이 예상되는 주요시설을 소각로, 용선로, 아스콘제조 및 보일러로 선정하였고 이중 소각로는 피렌(Pyrene), 퍼릴렌(Perylene)이 0.7ppb, 0.3ppb, 용선로는 피렌(Pyrene), 페난트렌(Phenanthrene), 안트란센 (Anthracene)이1.3ppb, 1.2ppb, 0.6ppb검출되었다, 아스콘제조시설은 안트란센(Anthracene), 피렌(Pyrene), 나프탈렌 (naphthalene), 보일러는 페난트렌(Phenanthrene), 안트란센(Anthracene)의 검출빈도가 높았으나 우려할 수준은 아 니고, GC(FID)와 HPLC 중 HPLC가 선택성, 재현성 및 감도가 우수하여 신뢰할 만 하였다 
 
 
 
 
  미생물의 성장특성을 이용한 생물학적 프로세스 운영의 합리화 방안에 관한연구
 
하수종말처리장의 안정된 수질처리 및 처리비용 감소를 위해 실험성 규모의 반송기를 통하여 미생믈의 성장 특성 을 구하고 또한 미생물 환경인자들을 이용해 폭기조 수온 및 최적 폭기조 용량과 SRT, HRT등을 산출하여 유기물 질 처리의 안정화와 슬러지 발생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process 운영인자를 찾고자 하였다. 미생물 성장 특성을 Plot Test 결과 Yg=1.1427mgMLSS/mgCOD, V=0.177day-1, KS=27.03mg/l로 얻어졌다. 미생물의성장특성과 처리 효율, 슬러지 발생량, 슬러지 침전성 등의 처리조건을 고려하여 얻어진 process 운영인자는 SRT=9.523day, MLSS=4.623mg/l, a(슬러지 반송율)=0.113g, SV(%)=41.2%, r(반송비)=2.123, 최적F/M=0.2656이며 처리효율은 94.7% 였다. 
 
 
 
 
  도내 간이상수도 수질에 관한 연구

 
도내 간이 상수도의 수질조사와 관리실태를 파악하고 효율적인 관리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본연구를 실시하였다. 간이상수도는 대부분 노후시설로 수질오염에 매우 취약하여 부적률이 화성 35%, 용인 10%, 이천16.7%로 나타났으 며 이중 76%가 세균에 의한 것이었다. 이에 염소소독제를 기조의 직접투입방식에서 투여용기를 사용하므로 균등 한 농도를 유지하며 투여기간도 2-3배 연장할 수 있어 주민건강보호에 기여할 것으로기대된다. 
 
 
 
 
  폐광산지역 중금속 오염도조사 연구

 
경기도내 폐광 3개소를 대상으로 광미, 주변토양, 하천저질의 오염도 조사를 하므로써, 폐광주변의 오염도 실태파 악과 토양오염 방지대책 수립시 기존자료로 활용하도록 한다. 광미, 주변토양, 하천저질의 오염도 조사결과 광미유 출에 의한 하천오염이 진행됨을 알수 있었고, 토양의 중금속 오염도는 자연부존량과 비교할때 S광산의 경우 납은 2배, P광산의 경우 납이 21배, 카드뮴이 58배정도 높게 조사되었으나 토양오염대책기준보다 낮게 조사되었다. 
 
 
 
 
  의정부 시내의 총부유먼지 및 중금속에 관한 조사연구
 
- 연구동기 
· 차량증가, 인구밀집등 제반요인으로 대기오염 가중추세
· 현재 대기중 입자상물질의 환경기준은 먼지와 납항목만 제정되었으나 다른 중금속물질
  의 환경기준 미설정
· 한수이북 북부지역의 대기질에 관한 조사자료 미흡 사업내용
· 대상 : 공원, 주거, 상업, 공업지역의 8개 지점
· 항목 : 총부유먼지 및 구리, 망간등 중금속 7항목
· 결과 총부유먼지의 평균농도는 130.87㎍/㎥이고, 중금속의 오염도는 Ca, Pb, Cu, Mn,
  Cd, Cr의 순으로 나타남 공원지역,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중에서는 공업지역이
  Ca, Cu만 제외하고 가장 높았음 대부분의 중금속이 조사기간인 4, 7, 9, 11월중 11월에   최고치를 나타냄 
 
 
 
- 문제점
 
· 의정부 시내가 협소하여 각 지역별 오염도 조사치의 의미가 감소됨
· 장비 및 인력부족으로 월별 변화치를 지속적으로 조사치 못하였음
· 지속적인 지역적 대기오염의 자료비축을 위하여 가스상 물질등 다른 항목의 연구사업
  필요
 
 
 
 
- 기대효과
 
· 대기오염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제고 및 중금속 환경기준제정의 기초 자료로 활용 
 
 
 
 
 
  전기분해에 의한 염색폐수의 효율적 처리에 관한 연구(Ⅰ)

 
- 연구동기 
· 전기분해를 이용한 염색폐수 처리의 적용가능성 조사
· COD 및 색도제거등 기존 처리방식의 개선 
 

 
- 사업내용
 
· 대상 : 인조 염색폐수
· 방법 : 소규모 처리를 제작하여 반복실험 pH, 시간, 전압등의 변화에 따른 COD 및 색도
           의 최적제거효율 측정
· 결과 : 평균제거율은 COD 65%, 색도 53%였으며 원수농도가 낮을수록 처리효율 향상
            - 전극으로 인한 중금속 용출로 전극손실 및 2차 오염 유발
· 완전반응을 위한 mixing 및 scum제거
· 처리비용 절감 및 폐수처리장 운전효율 극대화로 환경보전에 기여
 
 
 
 
 
 
  상수원·정수중의 잔류 알루미늄 농도에 관한 조사연구

 
- 연구동기 
· 원수의 수질오염이 점점 가중추세 - 부적절한 수처리 공정으로 물의 변색등 사용자들의   불만고조
· 먹는물 수질기준에 알루미늄 항목이 추가설정
 
 

 
- 사업내용
 
· 대상 : 경기북부 15개지역 상수원수 및 정수
· 방법 : 온도차에 의한 영향, 응집제의 종류에 따른 잔류성 조사
· 결과 : 원수에 비해 정수에서 알루미늄이 평균 52% 높게 나타났는데 응집제의 신중한
           선택이 요구됨 
 
- 문제점
 
· 잔류 알루미늄 농도가 먹는물 수질기준인 0.2㎎/ℓ를 초과하는 경우는 없으나 일부에서
  기준치에 근접하는 농도를 나타냄으로써 공급과정에서 변색될 가능성이 있음
· 응집제의 과다한 투여 
 
- 기대효과
 
· 적절한 수처리 공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수돗물에 대한 신뢰도 확보 및 도민
  건강에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