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지막한 쑥고개를 넘어가면 마둔호수다. 마둔호수변 둘레길을 따라 마을을 지나고 서운산자연휴양림을 통과하여 산 밑에 다다르면 석남사다. 신라 문무왕시절 창건된 석남사는 소박하고 정갈한 절이다. 유순하게 이어지는 등산로를 따라 은적암 방면으로 서운산길을 내려오면 청룡사다.
안성 서운산 동쪽 기슭에 있는 석남사는 조그마한 사찰이지만 대웅전으로 올라가는 길이 멋들어진 사찰로 이름 난 곳으로, 인기 드라마 ‘도깨비’의 촬영지가 될 정도로 아름다운 사찰이다.
해발 547m로 아담하고 바위도 거의 없는 유순한 산세에 푹 안겨 가볍게 산행하거나 문화 유적지를 통해 역사 공부를 하기도 좋은 산으로, 가슴을 씻어낸다는 탕흉대는 서운산 최고의 전망대로 손꼽힌다.
안성종합버스터미널 ▶ 일반 37,37-1,370,380번 버스 등 ▶ 봉산로터리 하차 ▶ 도보 80m 이동 후 2번 버스 ▶ 안성연수원 정류장 하차
주차장 : 금광호수(수석정) 주차장/안성시 금광면 현곡리 39/18대
문화재 | 안성객사 (경기도유형문화재 제154호) | 안성시 보개면 양복리에 있다. 객사란 고려, 조선 시대 각 고을에 설치했던 객관이다. 지방을 여행하는 관리나 사신 숙소로 사용했다. 조선 시대에는 객사에 임금을 상징하는 ‘전패’를 안치하고, 초하루와 보름에 왕궁을 향해 망궐례를 올렸다. 건물 구조는 가운데 정당을 두고, 좌우에 익실을 두었다. 안성객사는 17세기 초에 중수되었고, 축조연대는 14세기로 본다. |
---|---|---|
문화재 | 서운산성 | 차령산맥의 주된 봉우리인 서운산의 봉우리 2개를 연결하여 마치 말안장 모양으로 쌓은 토성인 서원산성은 ‘북산리성터’라고 부르기도 한다. 산성이 있는 곳은 평균 고도가 해발 490m쯤 되는 고지이며 심한 경사를 이루고 있다. |
관광지 | 서운산자연휴양림 | |
문화재 | 석남사 대웅전 | |
문화재 | 안성 석남사 영산전 | |
문화재 | 청룡사 사적비 | |
문화재 | 청룡사 삼층석탑 | |
보호수 | 느티나무 | |
보호수 | 느티나무 | |
구분 | 상호명 | 주소 | 연락처 |
---|---|---|---|
모범 음식점 | 독쟁이 추어탕 |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배티로 729 | 031-671-7101 |
일반 음식점 | 산마루식당 | 경기도 안성시 배티로 211 | 031-677-5618 |
구분 | 상호명 | 주소 | 연락처 |
---|---|---|---|
민박펜션 | 노을들녘 |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금광오산로 28-78 | 0507-1340-2042 |
민박펜션 | 안성한옥펜션 |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석하양지편길 69 | 010-3123-3196 |
숙박업체 | A1 무인텔 |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북절골길 112 | 031-676-0959 |
※ 상기 목록은 무작위 정렬 순서로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