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이 고려왕조를 기렸던 숭의전을 떠나 고구려 유적 당포성으로 향한다. 작은 나무가 외로이 서 있는 성 위로 오르면 이곳에 성을 쌓은 이유를 알 수 있을 것이다. 동이대교 북단을 지나 임진강변으로 내려선다. 이곳이 임진강 주상절리, 임진적벽이다. 시원스레 뻗은 강둑을 지나 언덕으로 오르면 고구려 보루성이 있다. 한동안 이어지는 숲길을 지나고 북삼교를 건너 다시 강둑길을 간다. 저 앞으로 우람한 수문이 보이면 걸음은 끝이다. 평화누리길 11코스와 노선이 같다.
우리나라 서해안에서만 사는 어종으로 초봄 산란기가 되면 강으로 거슬러 올라오는 습성을 가지고 있다. 최고의 맛을 지닌 황금물고기, 자연산 황복은 임진강에서만 맛볼 수 있다.
휴전선에서 불과 6km 떨어진 접경지역에 위치하고 댐 유역의 97%가 북한땅으로, 임진강 본류의 홍수 조절 능력 확보 및 북측 황강댐에 의한 불규칙한 물 흐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전곡시외버스터미널 (전곡재래시장앞 버스정류장) ▶ 일반 80-2, 82-5, 58-5번 버스 ▶ 숭의전 정류장 하차
문화재 | 연천은대리성 | 호로고루, 당포성과 함께 고구려 강안 3대 평지성 중 하나다. 은대리성은 규모로 보면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고구려 성곽유적이다. 성 둘레는 약 1km 정도이고, 외성과 내성 이중 방어 체계를 가졌다. 한탄강 요충지를 통제하는 방어진지였고, 고구려 남진 시기에는 후방 거점기지였을 것이다. |
---|---|---|
문화재 | 연천전곡리유적 | 연천군 전곡읍 한탄강변에 있는 구석기시대 유적이다. 1978년 동아시아 최초로 아슐리안 주먹도끼가 발견된 곳이다. 이 발견은 동아시아 구석기 문화를 새롭게 이해하는 초석이 된다. 유적지 안에는 세계적인 규모의 선사박물관이 있다. 다양한 구석기시대 조형물과 체험프로그램이 있어 선사 문화를 쉽고 즐겁게 이해할 수 있다. |
관광지 | 임진강 주상절리 | |
관광지 | 연천 고구려 보루 | |
문화재 | 연천 유엔(UN)군 화장장시설 | |
보호수 | 느티나무 | |
보호수 | 느티나무 | |
구분 | 상호명 | 주소 | 연락처 |
---|---|---|---|
모범 음식점 | 강마을매운탕 |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우정리 390-1번지 | 031-833-7228 |
일반 음식점 | 고려가든 | 경기도 연천군 미산면 숭의전로 381 | 031-835-5464 |
구분 | 상호명 | 주소 | 연락처 |
---|---|---|---|
민박펜션 | 스텔라토풀빌라 | 경기도 연천군 전곡읍 선사로 203-1 | 0507-1358-6365 |
숙박업체 | 임진강 모텔 | 경기도 연천군 군남면 청정로 2162 | 031-835-9070 |
숙박업체 | 알멕스리조트 | 경기도 연천군 왕징면 왕산로218번길 61 | 031-833-5901 |
숙박업체 | 임진강해돋이펜션 | 경기도연천군 왕징면 왕산로78번길 103 | 031-833-1171 |
숙박업체 | 허브빌리지 | 경기도 연천군 왕징면 북삼리 225-10 | 031-833-3322 |
※ 상기 목록은 무작위 정렬 순서로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