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로 건너가는 길목에 문수산(376m)이 있다. 높은 산은 아니나 이곳에 쌓인 역사의 두께는 만만한 것이 아니다. 삼국시대 성벽 흔적이 출토되었고, 조선 숙종 시절에 쌓은 문수산성이 비교적 잘 남아있다. 문수산을 오르며 보는 강화해협 풍광은 장쾌하다. 국방 요충지가 뷰 포인트라는 말이 실감난다. 문수산을 넘은 걸음은 조강나루터가 있던 조강마을로 이어지고, 나지막한 언덕 숲길을 지나면 애기봉 초입인 가금마을이다.
평화누리길 2코스와 노선이 같다.
[주의] 당초 민통선 구간인 문수산성 입구- 보구곶리검문소-용강리검문소-애기봉 입구 노선(평화누리자전거길)을 이용하려고 하였으나 보행자 통행은 어렵다는 군부대 의견에 따라 현재 노선으로 정하였고 추후 군부대 추가 협의 후 노선이 변경될 수 있음.
문수산성 정상에있어 군사작전에서 지휘자가 적의 동태를 살피고 명령을 내리던 곳으로 정면 3칸 측면 1칸 25.74㎡ 규모로 홑처마 팔작지붕 형태의 목조 건축물이다.
조선 숙종20년(1694년) 축조된 대표적 산성으로 1866년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군과 치열한 격전을 치른 국방유적(사적제138호)이며 서해와 강화,인천, 파주 등을 한눈에 살필 수 있다.
병자호란 때 이야기다. 기생 애기는 평양감사와 사랑하는 사이였다. 북쪽에서 오랑캐가 쳐들어오자 감사와 애기는 임금이 계신 한양으로 떠났다. 멀고 힘든 피난길이었지만 사랑하는 감사를 믿으며 개풍군까지 왔다. 그러나 감사는 오랑캐에 잡혀갔다. 애기는 홀로 강을 건너 월곶면 조강리에 머물면서 감사가 돌아오기를 기다렸다. 날마다 쑥갓머리산에 올라 감사가 끌려간 북녘을 향해 빌고 또 빌었다. 그러다가 그리움이 사무쳐 병이 들었다. 애기는 자기가 죽으면 산꼭대기에 묻어달라는 유언을 남기고 죽었다. 마을 사람들은 애기를 쑥갓머리산 꼭대기에 장사를 지내주었다. 그 뒤로 애기가 묻힌 봉우리를 애기봉이라고 부른다.
강화여객자동차터미널(강화터미널 버스정류장) ▶ 96, 90, 3000 버스 약 7분 소요, 88번 약 11분 소요/(평일) 9~25분 간격(주말) 8~30분 간격 ▶ 성동검문소 정류장 하차
주차장: 문수산 산림욕장 주차장/김포시 월곶면 성동리 230/220대
관광지 | 애기봉 | 병자호란 때 끌려간 평안감사를 그리워하다 죽은 기생 애기의 한이 강 하나를 사이에 두고 오가지 못하는 이산가족의 한과 같다고 하여 애기봉이라 명명한 곳으로 우리나라에서 북한을 제일 가까이에서 볼 수 있다. 애기봉은 애기봉 평화생태공원 내에 위치하고 있다. |
---|---|---|
관광지 | 김포국제조각공원 | ‘통일’을 테마로 조성된 조각공원으로, 지오바니 안셀모를 비롯해 세계적인 조각작가 16명의 작품 30여점이 전시되어있다. 숲길을 따라 천천히 산책을 즐기면서 자연스럽게 조각품들을 감상 할 수 있는 곳이다. |
문화재 | 문수사 풍담대사부도 및 비 | 조선 시대의 고승 풍담대사 의심(義諶:1592~1665)의 묘 탑과 그 탑비이다. 문수사 뒤편의 문수산 정상 가까이에 자리하고 있다. 탑은 통일신라 이후 많이 사용된 팔각원당형으로, 방형의 지대석 위에 8각의 기단부를 얹어 만들어졌다. |
관광지 | 김포국제조각공원 | |
박물관·미술관 | 다도박물관 | |
관광지 | 애기봉 평화생태공원 | |
시도 기념물 | 한재당 | |
보호수 | 느티나무 | |
보호수 | 은행나무 | |
보호수 | 느티나무 | |
보호수 | 향나무 | |
구분 | 상호명 | 주소 | 연락처 |
---|---|---|---|
일반 음식점 | 문수산들마루 |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김포대학로 144 | 031-997-5279 |
일반 음식점 | 문수산성 |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용강로103번길 70-23 | 031-997-2337 |
일반 음식점 | 박가네 김밥김포대학점 |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김포대학로 104 | 031-988-2570 |
구분 | 상호명 | 주소 | 연락처 |
---|---|---|---|
민박펜션 | 마리의정원 |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문수산로 128-40 | 010-9055-0225 |
민박펜션 | 문수산펜션 |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문수산로 174-25 | 010-3568-4311 |
※ 상기 목록은 무작위 정렬 순서로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