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조선시대 옛길
구 분 | A(6로) | B(7로) | C(9로) | D(10로) | 주요 경유지 (D 기준) |
---|---|---|---|---|---|
제1로 | 의주 | 의주 | 의주 | 의주 | 고양~개성~평양~의주 |
제2로 | 경흥 | 경흥·서수라 | 경흥·서수라 | 경흥 | 양주~철원~길주~경흥 |
제3로 | 평해 | 평해 | 평해 | 평해 | 가평~대관령~인제~평해 |
제4로 | 동래 | 부산 | 부산 | 동래 | 용인~충주~조령~대구~동래 |
제5로 | 제주 | 태백산 | 태백산 | 봉화 | 하남~충주~죽령~영주~봉화 |
제6로 | 강화 | 통영 | 통영 | 강화 | 김포~강화 |
제7로 | 강화 | 제주 | 수원 | 시흥~수원 | |
제8로 | 충청수영 | 해남 | 과천~수원~공주~전주~해남 | ||
제9로 | 강화 | 충청수영 | 진위~아산~신창~신례원~수원 | ||
제10로 | 통영 | 삼례~남원~팔량치~함양~통영 |
※ A-『도로고』(1770), B-『임원경제지』(1830), C-『기봉방역지』(미상), D-『대동지지』(1864)
경기도의 옛길과 재해석

1. 조선시대 6대로(신경준, 『도로고』, 1770)
- 의주로 : 한양~고양~파주~개성~의주
- 경흥로 : 한양~양주~양평~함흥
- 평해로 : 한양~가평~양근~평해
- 영남로 : 한양~과천~용인~양지~동래
- 삼남로 : 한양~과천~수원~해남
- 강화로 : 한양~김포~통진~강화
2. 경기도 옛길 현대적 재해석 (2012~2016)
- 2011년 : 역사문화탐방로 개발 및 활용 연구
- 2012년 : 삼남길 일부 구간(수원~오산) 개통
- 2013년 : 삼남길 전 구간 개통
- 2013년 : 의주길 전 구간 개통
- 2015년 : 영남길 전 구간 개통
- 2016년 : 남한산성 옛길(봉화로) 조사 연구
- 2017년 : 남한산성 옛길(봉화로) 개통
대동지지 원형 노선
남한산성 옛길(봉화로) 전체
- (한양) 전곶교 → 신천진 → 송파진
- (경기) 율목정 → 남문 → 검북참 → 경안역 → 쌍령점 → 곤지애 → 광현 → 이천 → 장등점 → 음죽 → 장해원
- (충북) 오갑 → 용당 → 복성동 → 봉황천 → 가흥창 → 하연진 → 북창진 → 충주 → 신당리 → 황강역 → 서창 → 의치 → 수산역 → 장위점 → 단양 → 죽령
- (경북) 창락역 → 풍기 → 창보역 → 영천→ 내성점→ 봉화
- 각 지점의 이수(里數)가 산정 / 작은 글씨로 길에 대한 부가 설명
- 한양에서 봉화까지 거리는 총 500리(196km) / 봉화에서 태백산 사고까지의 거리는 50리
남한산성 옛길(봉화로) 간단 노선

자전곶교지광주략도에 나타난 남한산성 옛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