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ESCO World Heritage
Namhansanseong in Gyeonggi-do

경기도남한산성세계유산센터

남한산성 소개

최종 수정일 : 2022-08-26 10:25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남한산성

경기도 남한산성 도립공원 사진

남한산성 내 소나무 숲은 수도권 최대의 소나무 군락으로 보존가치가 매우 높다. 보기 드문 이 아름다운 소나무 숲은 일제 강점기에 전쟁 물자로 확보하고 땔감으로 무분별한 벌목이 이루어져 산성리 마을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금림조합을 결성하여 소나무 숲을 가꾸고 보전하였기 때문이다.
일제강점기 남한산성에서는 항일운동의 근거지 중 하나로 성벽이며, 행궁이 심하게 훼손되고 남한산 초등학교 교사가 전소가 돼 전쟁의 상처가 깊었다. 전쟁이 끝난 직후인 1954년 5월 10일 남한산성은 한국에서 최초의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행궁 터에 남한산성과 관련된 문화유산과 물산을 전시하는 경기도 물산 진열관이 지어졌다.
1960년대 후반들어 경기도는 남한산성을 도립공원으로 지정하는데 필요한 남한산성 기초조사 실시와 도립공원 조성 기본 계획을 수립하였다. 먼저 남한산성 관광객 및 교통 실태에 대한 기초조사가 이뤄졌으며 이는 1969년에 발간된 「남한산성 도립공원후보지 기본조사계획보고서」에 수록되었다.
또한 위 보고서에 따르면 당시 산성리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데, 산성리에는 100여 호가 거주하였고, 공공시설로는 중부면 사무소, 남한산 초등학교, 경찰지서, 우체국, 여관이 2개, 의원과 약국이 각 1개가 있었다. 마을의 민가는 대체로 초가와 목조 건물이었고, 공공건물과 여관만 기와와 양옥집이었다. 교통로는 우남로와 함께 동문에서 산성천을 따라 광지원으로 연결되는 7.8km 폭 5m 내외의 자연 도로가 있었다. 당시 관광객 수는 1년에 15만 명 정도로 대부분 당일 관광객이었다.
1971년 3월 17일 남한산성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면서 남한산성의 체계적인 관리가 시작되었다. 도로개선을 위해 1974년 광지원에서 남한산성을 통과하여 성남으로 이어지는 308번(342번) 지방도의 도로 포장을 진행하였으며, 문화재 보수 복원 작업 또한 대대적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같은 해에 중부면 사무소가 산성리에서 광지원리로 이전하였다.
남한산성 문화재를 보호하고 공원의 시설물을 유지, 관리하기 위해 1976년 남한산성관리사무소를 개소하였다.
1980년대 중반 이후 자가용 시대가 열리면서 남한산성 안의 산성리 마을은 서울 인근의 관광 휴양지로 바뀌었다. 주민과 관광객의 편의를 위해 남한산성 내에 새마을금고를 비롯 산성보건진료소, 중부농업협동조합 산성리 분소가 영업을 시작하였다. 1999년 1월부터 남한산성 하수처리장이 가동되어 오폐수에 대한 처리 능력이 향상되었다.
1990년대 중반부터 지방자치단체, 지역문화단체 등을 중심으로 남한산성을 재조명하는 작업
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 예로, ‘남한산성을 사랑하는 모임’이 1996년 4월부터 결성되어 현재까지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또한 1997년 경기도의회 내에 남한산성보존협의회가 결성되었으며, 1998년 경기도에 의해 남한산성에 대한 종합적인 복원 계획이 수립되었다.
한편, 주민들이 주도하여 1999년부터 ‘산성리 마을 신문’을 발간하여 왔는데, 이는 일제시대 금림조합의 결성으로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소나무 숲을 가꾸고 보전하였듯이 주민들을 중심으로 새롭게 마을 공동체를 발전시키는 중요한 원동력이 되고 있다.
남한산성 도립공원은 「자연공원법」에 의거 자연공원 내 자연자원을 10년마다 조사하고 있으며, 자연생태계 조사자료 및 공원관리실태 자료의 DB 구축으로 생태계보전의 지속적인 분석과 학술연구 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남한산성 도립공원 및 남한산성내 야생 동·식물을 보호, 관리하고 자연자원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방안과 보호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실시되고 있다.

경기도 남한산성도립공원 내 행정구역별 면적(㎢)

경기도 남한산성도립공원 내 행정구역별 면적(㎢)

경기도 남한산성도립공원 내 행정구역별 면적(㎢)의 표로써 행정구역(합계, 광주(61%), 성남(14%), 하남(25%)) 등의 내용을 제공

행정구역
합계 광주(61%) 성남(14%) 하남(25%)
35.16㎢ 21.56㎢ 4.79㎢ 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