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GYEONGGI

변화의 중심, 기회의 경기

유니버설디자인

최종 수정일 : 2025-06-26 14:48

유니버설디자인 정의 및 적용대상

  • 국적, 성별, 연령, 장애여부 등에 관계없이 모든 사람이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시공간 및 환경을 설계하는 것
  • UniversalDesign-장애인,외국인및관광객,어린이및영유아
  • 베리어프리디자인이전단계-물리적장애물/베리어프리디자인단계-장애인,고령자등사회적약자를위해물리적요소제거/유니버셜디자인단계-신체적장애나제약이없는사람들,외국인등을포함한모두가제약없이이용할수있는디자인적용

비전 및 추진전략

  • 너와나,우리모두가누리는경기도.안전한생활환경구축,접근성향상,유니버설디자인여건조성,유니버설디자인저변확대.①사람존중도시–고령화,저출산,다문화가정및장애인구증가등인구구조의변화에대응.→고령자등사회적약자를배려하여모두가존중받는도민중심도시.②심리안정도시–안전에대한기대감,사회발전및변화에따른삶의질향상의필요성반영.→도민의안전,편의,품격을높여심리적으로안정되는도시.③문화창조도시–모두가차별없이문화적가치를누리고즐기는정서의존중.→모든도민이차별없이문화적가치를누릴수있는포용성높은도시.④공감교육도시–유니버설디자인인식확산에필요한다양한형식의콘텐츠발굴.→경기도형공감교육을통해유니버설디자인인식이보편적인도시.

가이드라인 유형

  • 일반적인 유니버셜디자인 사업 유형을 고려하여 가이드라인을 3개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에 해당하는 세부항목을 구분하여 가이드라인 제시
  • 1.가로공간:A.보행우선공간,B.보행연계공간,C.차량연계공간,D.가로시설물,E.안내사인./2.건축공간:A.접근공간,B.이동공간,C.위생공간,D.편의배려공간,E.안전시설./3.공원공간:A.접근공간,B.위생및편의공간,C.공원시설물,D.안내사인./[부록]경기도5대역점사항체크리스트:A.공개공지내쉼공간조성,B.스마트모빌리티주차장설치,C.택배및수송화물차지하층접근개선,D.청소원등취약근로자근무여건개선,E.전기차충전시설설치.

가이드라인 구성

  • ⓐ~ⓒ분류체계ⓓ유니버셜디자인지침및체크리스트ⓔ관련이미지ⓕ권장사례

가이드라인 활용

  • 가이드라인은 사업계획을 수립하거나 설계·제작·시공 시 지침 및 체크리스트로 활용하고, 경기도 공공디자인 진흥위원회의 심의기준 및 사후 평가 등의 지침으로 활용
  • 사업계획수립시과업지시서작성과현장설명에활용-설계·제작·시공시체크리스트로운용-디자인심의기준과사후평가및유지관리지침으로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