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관 및 광고물 경관계획 계획/가이드라인 도·시군경관계획 옥외광고물 사업안내 시군별 특정구역 지정현황 으뜸 간판 알리기 간판개요 우리나라 간판변천사 간판개선사업 국외우수사례 법규/조례
계획/가이드라인 홈 경관및 광고물 경관계획 계획/가이드라인 경기도 경관계획 최종 수정일 : 2025-06-11 14:37 경기도 경관계획 야관경관계획 계획의 배경 및 목적 아름답고 쾌적한 경기도 경관 실현(제1차 경기도 경관계획의 계승) 경기도 경관 비전 및 방향 제시(경기도 여건변화 반영) 경관관리의 지속적 추진체계 마련(경기도 경관의 내실화) 상위개념이자 참조계획으로서 경관의 역할 경관미래상 및 경관목표 제2차 경기도 경관계획의 경관미래상은 ‘아름답게 공존하는 31개 빛깔의 경기도 경관’으로서, 다양성을 지닌 경기도 경관특성을 존중하는 가운데 31개 시,군의 협력과 연대로 함께 관리해 나가자는 의미를 지님. 경기도 경관은 다시 ‘경기자연’, ‘경기생활’, ‘경기인문’이라는 세 분야로 구분 가능하며, 각각 [경기자연] ‘자연과 인공이 조화롭고 촘촘하게 연결되는 경기도 경관’, [경기생활] ‘쾌적한 삶터와 일터, 경쾌한 이동의 경기도 경관’, [경기인문] ‘모든 오래된 것을 존중하고 예술을 사랑하는 경기도 경관’ 이라는 세 가지 경관목표를 지님. 시·군 권역별 경관관리 기본방향의 적용 원칙 각종 개발행위에 있어서 해당지역의 고려해야 할 경관관리방향을 확인하고자 할 때는 먼저 해당 시,군 지역의 경관권역을 확인 후 경관권역에 해당하는 경관유형의 경관관리 기본방향을 검토함. 시,군에 경관권역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도시,군기본계획의 공간구성체계(Zoning)를 토대로 적정한 경관유형을 선택함. 복합적인 성격의 경관권역 및 유형화가 곤란한 특정지역의 경우, 해당사업 지역의 주변 현황과 장소성을 토대로 해당되는 경관유형을 임의로 설정하여 경관관리 기본방향을 적용하도록 함. 더불어 해당사항이 있는 경우, 경관요소별 경관관리 기본방향과 광역경관관리구역별 경관관리 기본방향을 중복 검토하여 입체적/다각적 계획 수립을 추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