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경기도 섬유산업
- 조회수
- 6939
- 작성자
- 특화산업과
- 작성일
- 2018.04.06
경기도 섬유산업 현황
- 경기도는 전국 편직업체(133개)의 57.9%(77개), 염색가공업체(835개)의 54.1%(452개)를 차지하고 있음. 특히 경기북부는 경기도 편직업체(77개)의 75.3%(58개)와 염색가공업체(452개)의 74.3%(336개)가 입지하고 있어 전국 최대 생산거점으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지속 발전 가능성이 높음.
※ 출처 : 2016년 통계청 전국사업체조사(10인이상) 및 광업제조업조사(10인이상)
경기도 섬유산업의 강점
- 국내 최대 의류 소비시장인 서울시에 인접하고 있어 지리적으로는 최적의 섬유소재 생산지역이고, 니트 편직 및 염색・가공업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분업화되어 있어 소량 다품종 단납기 생산시스템을 구축으로 세계 패션 시장변화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경쟁력 확보
섬유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인프라 구축
- 한국섬유소재연구원 건립(준공 `05.12)
– 경기북부 섬유업체의 근접기술 지원을 통한 경쟁력 강화
(위치) 양주시 검준길 170(양주 검준지방산업단지내) - 경기섬유봉제지식산업센터 건립(준공 `13.10)
– 경기도 섬유소재 생산기반과 패션산업을 연계한 패션브랜드 육성 등 고부가가치 생산기반 마련을 위한 기획・디자인-봉제-마케팅 연계 기반 구축
(위치) 동두천시 동두천로 97(지행역 인근) - 경기섬유종합지원센터 건립(준공 `13.11)
– 세계적인 섬유(니트)산업 중심지로 육성을 위한 기획・생산・유통 One-stop지원 시스템 기반 구축
(위치) 양주시 평화로 1215 - 경기섬유원자재센터 건립(준공 `14.6)
– 원활한 원사수급과 운송・보관료 등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는 섬유원자재 수급지원센터 구축
(위치) 포천시 용정경제로 120(용정산업단지 내)
경기도 지원사업 현황
연구개발·기업지원을 통한 섬유강소기업 육성
- 상용화 가능한 섬유분야 기술개발 지원(12.8억원)
- 섬유전문가 현장방문을 통한 애로기술 해결(2억)
- 섬유기업의 맞춤형 시제품 제작 지원(3.3억)
- 섬유분야 유해물질 대응방안 교육 및 시험분석 지원(2.8억)
- LA, 뉴욕, 상해 해외 섬유마케팅센터 운영(20억)
- 국내·외 전시회 참가지원(6억)
고부가가치 섬유패션산업 활성화
- 니트 소재를 활용한 교복 등 학생복 디자인 개발(4억)
- 트렌드 분석을 통한 의류 샘플제작 및 원단 디자인 개발 지원(4억)
- 경기니트패션쇼 및 대학생 패션디자인 페스티벌 개최(3억)
- 경기패션창작스튜디오 개관(`16.4.28) 및 운영(2억)
- 이전글
- DMZ 일원 관광지 개발